본문 바로가기

CS/Networking

(12)
12/30 OSI 7 layer OSI 7 계층이란? OSI 7 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한다. OSI 7 계층으로 나눈 이유는? 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이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흐름을 한눈에 알아보기 쉽고, 사람들이 이해하기 쉬우며 7단계 중 특정한 곳이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드리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기 때문이다. OSI 7 계층 1계층 - 물리계층(Physicla Layer) 이 계층에서는 주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 계층에서 사용되는 통신 단위는 비트이며, 이것은 1과 0으로 나타내어지는, 즉 전기적으로 On, Off 상태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계층에서는 단지 데..
12/30 동기/비동기 동기(synchronous:동시에 일어나는) 동기는 말 그대로 동시에 일어난다는 뜻입니다. 요청과 그 결과가 동시에 일어난다는 약속이며, 바로 요청을 하면 시간이 얼마나 걸리던지 요청한 자리에서 결과가 주어져야 합니다. 요청한 결과가 한자리에서 동시에 일어남 A노드와 B노드 사이의 작업 처리 단위(transaction)을 동시에 맞추겠다. 비동기(Asynchronous:동시에 일어나지 않는) 비동기는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요청한 결과는 동시에 일어나지 않을거라는 약속입니다. 요청한 그 자리에서 결과가 주어지지 않음 노드 사이의 작업처리 단위를 동시에 맞추지 않아도 된다. 동기와 비동기 방식 장단점 동기 장점: 설계가 매우 간단하고 직관적 단점: 결과가 주어질 때까지 아무것도 못하고 대기해..
12/29 프로토콜(protocol) 프로토콜이란? 서로 다른 시스템 및 기기 간 데이터 교환을 원활히 하기 위한 표준화된 통신 규약 기기 간 통신은 교환되는 데이터 형식에 대해 상호 협의를 요구하기 때문에 프로토콜이 필요한 것이며, 공통의 데이터 교환 방법이나 순서에 대해 정의한 약속, 규칙 체계를 의미한다. 따라서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기종 및 프로그램이 다르더라도 컴퓨터간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기종간 정보 통신을 하기 위해 표준 프로토콜을 채택하여 통신망을 구축해야 한다. 프로토콜의 기본요소 기본 요소는 크게 구문, 의미, 타이밍 세 가지가 있다 프로토콜의 기능 단편화(Fragmentation) 와 재합성(Assembly) 단편화 : 송신 측에서는 긴 데이터 블록을 손쉽게 전송할 수 있도록 크기가 똑같은 작은 블록으..
12/28 HTTP? HTTPS? HTTP Request/Response 구조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텍스트(HTML) 문서를 교환하기 위해 만들어진 protocol(통신 규약). 즉 웹상에서 네트워크로 서버끼리 통신을 할때 어떠한 형식으로 서로 통신을 하자고 규정해 놓은 "통신 형식" 혹은 "통신 구조"라고 보면 된다.또한 백앤드와 프론트앤드 서버간에의 통신에도 사용된다. 프론트앤드 서버와 클라이어트간의 통신에 사용된다. HTTP는 TCP/IP 기반으로 되어있다. HTTP는 기본적으로 request(요청)/response(응답) 구조로 되어있다.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모든 통신이 요청과 응답으로 이루어 진다. 클라이언트가 HTTP request를 서버에 보내면 서버는 HTTP response를 ..